부사관이란?
부사관이란 군대에서 장교와 병사 사이에 있는 하사·중사·상사·원사의 계급을 가진 육·해·공군의 간부를 가리킨다.
부사관은 통상 육군의 분대(分隊) 및 소대(小隊) 같은 최소 규모의 부대를 지휘하거나 전투기본교육, 보급·정비·행정, 부대관리 등의 숙련된 기술을 요하는 분야에 기술자로 배치되고 있으며, 각급 제대(諸隊)의 최선임 부사관은 지휘관을 보좌하며, 병사와 지휘관과의 교량적 역할을 수행한다.
계급장

- 계급장은 성장(계층)과 도약을 뜻하며 병의 상위계급으로서 장교와 병간 교량적 역할과 승리, 투지 표현
(원사의 ☆은 병 최고의 경륜을 익힌 완숙된 존재임을 상징) - 무궁화는 대한민국 군인으로서 나라사랑, 단결, 평화를 의미
부사관의 역할

- 군 전투력 발회의 중추적 역할
- 병영생활지도 / 훈육
- 신상파악 / 선도, 병 인사관리 담당
- 병 기본훈련 / 주특기 훈련 (교관)
- 장비 / 보급품 관리 (행정 / 보급관) - 소부대 전투의 전문가
- 분대, 소대 전투지휘 (부소대장) - 부대의 전통유지 / 계승
- 군의 중간 관리자
부사관이 되면 주어지는 7가지 큰 혜택
- 국가공무원으로서 확실하고 안정된 직장을 보장합니다.
- 부사관을 지원하여 소정의 시험(필기평가 및 인성검사, 신체검사, 체력검정, 면접평가)에서 합격하면 부사관 임관교육을 마치고 하사로 임관시 국가공무원으로 신분이 상승되고 장기복무를 지원하여 선발되면 안정된 평생직장이 보장됩니다.(상사 53, 원사 55세) - 최단시간내 목돈마련이 가능합니다.
- 동급 학력수준에서 일반사회와 비교시 군은 식사 및 숙소가 제공되며, 의복비 과다지출 등이 불필요 하여 부사관 4년 복무간 봉급액의 80% 저축시 최대 6천여 만원 저축이 가능 (사회에서는 동급 연봉이상 수령시에도 주거비, 유흥비, 의복비, 교통비, 데이트비용 등으로 6천만원 마련을 목표로 하여 월 70만원을 저축할 경우 8년여 기간이 소요)
※ 하사3년 x 1,850 + 중사1년 x 2,900 = 8,450 ☞ 80%저축시 6,760만원 - 육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복지 혜택으로 실질임금을 더욱 높게 합니다.
- 독신자 숙소, 관사, 군인 아파트를 제공하여 숙소에 대한 걱정이 없으며, 군인공제회의 특별분양 아파트 공급과 저렴한 이자의 융자혜택으로 내집 마련의 꿈을 조기에 달성할 수 있으며, 전국 18개소의 군병원 무료이용이 가능하고, 사고시 최대 1억원을 보장하는 맞춤형 보험에 자동으로 가입되면, 서귀포호텔 등 전국 70여개의 휴양시설과 지역별 육군에서 운영하는 쇼핑센터 등 각종 매장에서 저렴하게 쇼핑을 할 수 있습니다. - 20년이상 복무하고 전역시 연금혜택 등으로 노후가 보장됩니다.
- 20년이상을 복무하고 전역하면 죽을때까지 연금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, 국립묘지 안장 등 각종혜택을 받을 수 있고 33년이상 성실히 복무하면 전역시에는 보군훈장 수혜로 국가유공자 대우(자녀취업 10%가산점 등)를 받을 수 있습니다. - 개인의 전공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전문분야에서 근무할 수 있습니다.
- 개인의 전공, 자격에 따라 전투, 기술, 행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화된 업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. - 대학진학, 기술자격증 등 자기발전의 기회를 제공합니다.
- 전문대학, 사이버대학, 대학교, 대학원 진학 등 자기발전의 기회를 부여하고 또한 육군에서 주관하는 국가 기술자격검정시험(연2회, 58개 분야)에 응시하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집니다. - 폭넓은 자녀교육을 지원합니다.
- 장기복무자 자녀 중·고교 재학생의 학비가 전액지급되고, 대학진학시 장학금 지급과 학비도 국가에서 전액 무이자 대출을 지원하고 있으며, 대도시에서 학업중인 자녀에게 군에서 운영하는 기숙사를 제공하여 교육여건을 보장합니다.
※ 12개 학사 : 송파, 의정부, 영등포 2개, 화성, 춘천, 계룡, 부산, 대구, 원주, 광주, 유성
지원자격 및 복무기간
- 지원자격 / 연령
- 고졸이상의 학력 소지자로 18~27세 (단 군필자는 18~30세)
※ 1년미만 복무 전역(28세까지), 1년 ~ 2년 미만 복무전역(29세까지), 2년 이상 복무전역(30세까지) - 복무기간
- 기본 4년복무 및 본인 희망에 의거 복무연장 및 장기복무 지원 가능